책에는 하나의 게임을 만들면서 반복문과 전체적인 구문을 사용하는 법을 배운다.
그러나 이런 부분에 핵심만 이야기 할려고 한다.
let funds = 50 // 시작 조건
while(funds > 1 && funds < 100) {
//반복 및 반복 해제 조건
}
위와 같은 방식의 일반적인 while 문이다.
블록문을 시장하면 이들을 하나의 단위로 취급합니다. 제어문이 없이도 블록 문만 써도 되지만 별 의미는 없습니다.
{
console.log("안녕");
console.log("하이");
}
console.log("히히끝남");
처음의 두 console.log는 블록 안에 있지만 유효한 문법입니다.
블록 문이 유용해지는 것은 제어문과 함께 사용할 때 이다.
let funds = 50;
while(funds > 1 && funds < 100) {
funds = funds + 2; //2보 전진
funds = funds - 1; //1보 후퇴
}
let funds = 50;
while(funds > 1 && funds < 100)
funds = funds + 2;
위는 2의 값을 더하고 1의 값을 빼서 총 1씩 더하다가 종료됩니다.
그리고 아래는 2씩 더하다 100이 되어서 종료하게 되는 코드입니다.
밑처럼 블록이 없어도 while은 사용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자바스크립트는 줄바꿈 문자를 포함해, 추가 공백을 신경 쓰지 않습니다. 그러나 공백을 아무렇게 쓰는 건 좋지 않습니다.
while(funds > 1 && funds < 100)
funds = funds + 2;
위와 같은 방식으로도 작동은 되지만 두 문 사이에 연간이 되어 있다는 느낌이 주어지지 않습니다.
while(funds > 1 && funds < 100) funds = funds + 2;
while(funds > 1 && funds < 100) { funds = funds + 2; }
위는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스타일인데 모호해 보이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