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눗셈 연산자

동일한 정수형으로 나누고 결과를 내림 연산자는 //를 두개 그어서 하며 된다.

참고로 나머지는 %이다.

print

print('A1', 'B2')
A1 B2

print('A1', 'B2', sep=',')
A1,B2

print('aa', end=' ')
print('bb')
aa bb

a = ['A', 'B']
print(' '.join(a))
A B

idx 값에 1을 더해서 fruit와 함께 출력하는 방법

idx = 1
fruit = 'apple'

print('{0}: {1}'.format(idx + 1, fruit))
2: apple

print('{}: {}'.format(idx + 1, fruit))
2: apple

선호되는 방법은 f-string(formated string literal)..

변수를 뒤에 별도로 부여앟ㄹ 필요 없이 마치 템플릿 사용하듯 인라인 삽입..

%나 .format 부여 방식 보다 훨씬 간결하고 직관적임

print(f'{idx + 1}: {fruit}')
2: apple

3.6 이상부터 지원한다.

locals

locals()는 로컬 심볼 테이블 딕셔너리를 가져오는 메소드로 업데이트 또한 가능함.

디버깅에 매우 도움된다.

import pprint
pprint(.pprint(locals())

이런식으로 하면 이쁘게 정리해서 클래스 메소드 내부의 모든 로컬 변수를 출력해주기 때문에 디버깅에 도움이 많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