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oriented programming
프로그램 설계방법론의 일종, 명령형 프로그래밍에 속함.
<aside> 💡 명령형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 프로그램의 상태에 대한 문장들을 작성하는 스타일을 일컬음
</aside>
프로그램을 단순히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수많은 객체(object)라는 기본 단위로 나누고 이들을 상호작용으로 서술하는 방식이다.
객체란 메소드와 변수를 가지며 특정 역할을 수행하도록 인간이 정의한 추상적 개념이다.
객체라는 특수한 묶음을 모안드난 개념에 기반한 이론적인 틀 또는 체계
객체들은 클래스라고하는 프로그래머가 정의한 청사진들의 집합으로 구성됨 (대부분)
추상화는 맥락에 따라 핵심적인 개념 또는 기는들로 제한되는 실제 객체 또는 현상의 모델이다.
변수와 함수를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 번들링(bundling)이다. 대부분은 클래스로 통해 구현되고, 해당 클래스의 인스터느
세부 구현을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특정 모듈 내부로 감추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