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tcpschool.com/cpp/cpp_intro_programming
위 링크 참고해서 간단한 기본 문을 학습하기로 함.
C++ 큰 작동 방식
- 소스 파일(soruce file)의 작성
- 선행처리기(preprocessor)에 의한 선행처리
- 소스 파일 중에서도 선행처리 문자(#)로 시작하는 선행처리 지시문을 처리 작업을 의미함
- 선행처리 작업은 선행처리기에 의해 처리됨.
- 선행처리기는 코드를 생성해주느게 아니라 컴파일 하기 전에 컴파일러가 작업하기 좋도록 소스를 재구성해주는 역할만 함.
-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한 컴파일
- 코드를 기계에러 변환
- 기계어로 변환된 파일을 오브젝트 파일(object file)이라고 함.
- .o , .obj 확장자 파일이 됨
- 링커(linker)에 의한 링크
- 컴파일러에 생성된 오브젝트 파일은 운영체제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시동 코드(start-up code)를 가지고 있지 않음
- 대부분, C++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표준 라이브러리 파일도가지고 있지 않음
-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 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 시동 코드 등을 합쳐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작업을 링크(link)라고 합니다.
- 링크는 링커에 의해 수행됨, 링크가 끝나면 하나의 새로운 실행 파일이나 라이브러리 파일이 생성됩니다.
- 여러 개의 소스 파일을 작성하여 최종적으로 링크를 통해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드는 것을 분할 컴파일이라고 함.
- 실행 파일(executable file)의 생성
- 위 같은 과정을 거쳐 실행 파일로 변환됨.
- 보통 윈도우에서 .exe 확장자가 됨.
코드 전체 구조
#include <iostream>
#define TEXT "Welcome to C++ Programming!!"
int main()
{
std::cout << TEXT;
return 0;
}
main() 함수
- c++ 프로그램은 가장 먼저 main() 함수를 찾고, 그 곳에서부터 실행을 시작함.
- 무조건 있어야함 시작점이기 때문
명령문 (statement)
- c++ 프로그램 동작을 명시하고 이러한 동작을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사용되는 문장을 명령문이라고 함
- 모든 명령문 뒤에는 세미콜론으로 끝나야함
반환문